현대인을 위한 조리 패러다임의 전환과 즐거운 조리생활 제안
조리 패러다임의 전환
분주한 일상생활과 외식이나 가정용 편이식의 이용이 증가하게 되면서 현대인의 가정 안에서의 조리는 점점 더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람들에게 가정 조리란 매우 부담스러운 가사 노동의 하나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가정에서 조리를 꺼리는 이유로는 음식을 만들기 위한 재료 손질의 번거로움, 조리에 들이는 시간, 가열조리의 부담 등이 주된 이유이고, 건강하고 좋은 음식 조리에 대한 갈망은 있으나 그러한 음식의 조리는 조리과정이 복잡할 것이라는 막연한 편견 등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밀키트, HMR 등을 이용한 간단한 혼합이나 가열 등의 저작이 조리라고 말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불편한 심리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가정에서의 조리빈도가 증가할수록 식사의 품질이 높아지고 식품관련 질환이 감소하는 만큼 가정 조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현대의 조리는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쉽게 접근하여 건강하고 풍요로운 식생활을 영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도록 패러다임의 변환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현대인을 위한 조리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하여 가열없는 조리, 미니멀리스트조리, 직관적 조리, 현명한 간편음식 조리 등의 4가지 조리방안의 활용을 제안하는 바이다.
가열 없는 조리: 조리라고 하면 보통 가열과정 포함을 전제로 하는 경우가 많아 소비자들은 전체 조리과정을 매우 복잡하다고 느끼고 어렵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음식을 만드는 단계로서의 조리의 정의를 살펴보면 못 먹는 부분을 손질하여 버리고, 물로 세척하고, 다시 썰어서 먹기 좋게 양념을 하는 조미(調味)와 이를 조리기구에 넣고 익히는 조리과정을 포함한 가열조리를 포함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음식은 조미 과정만으로 완성되는 생식(生食)과 가열조리까지 거친 화식(火食)이 모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주방에서 음식을 준비하고자 하는, 간단한 조미를 포함한 모든 과정은 조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여러분이 자주 만들고 있는 다양한 채소에 드레싱을 가미한 샐러드, 좋아하는 과일과 견과류, 꿀은 얹은 요거트도 훌륭한 조리라고 할 수 있다.
미니멀리스트 조리: 미니멀리즘 라이프스타일은 현대인이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하나로 자발적으로 불필요한 물건이나 일과 등을 줄이고 환경을 중시하는 특징을 가진 생활방식을 말한다. 이와 연관하여 미니멀리스트 조리(Minimalist cooking)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 높아졌는데 미니멀리스트 조리는 보통 10개 미만의 재료, 5단계 미만의 조리과정 정도가 포함되는 간단한 조리와 30분 미만의 신속한 조리시간으로 구성된 조리를 말한다. 이러한 미니멀리스트 조리의 장점은 복잡하고 긴 시간의 조리과정을 거치면서 파괴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 식재료의 각종 영양소를 지켜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조리과정이 길어지면 식재료 본연의 맛은 점점 사라지고, 음식의 농도를 높이는 양념의 첨가가 많아지면서 소화과정까지 어렵게 만들게 된다. 따라서 제철 재료를 사용하여 되도록 단순한 조리방법을 활용하는 미니멀리스트 조리를 실천한다면 가사노동 시간을 줄이고 식재료 본연의 맛을 좀 더 느끼면서 바람직한 건강 음식을 만들어내는 등 충분히 부담스럽지 않은 가정 조리를 실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직관적 조리: 현대인들은 조리를 위하여 다양한 매체에서 제공되는 유명인의 레시피와 재료, 조리 과정에 의존하여 음식을 만드는데 익숙하다. 그러나 일상의 조리는 특별한 레시피가 없더라도 신선한 재료들을 구매하여 기호에 맞게 간단히 조리하여 먹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매우 자연스럽고 본능적인 행동으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이 바로 직관적 조리이다. 이는 자연 식재료를 활용한 조리, 레시피가 없는 조리, 조리하는 사람의 창의적 조리 등을 기본으로 하는 내추럴 쿠킹(natural cooking)과도 유사하게 볼 수 있다. 직관적 조리와 먹기의 기본은 감정과 상황에 따르기 보다는 배고픈 끼니에 맞추어 지역에서 생산되는 제철 식재료를 활용하여 적당한 영양과 건강 유지를 위하여 적정한 양을 조리하여 먹는 것이다. 직관적 조리와 먹기의 장점은 건강하고 즐거운 식사를 하게 해주고 삶의 주도성과 자기존중, 몸에 대한 감사와 수용, 식단의 다양성 증가 등이다. 사실 우리는 대부분 직관적 조리를 자연스럽게 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가치는 생각하지 않고 있다. 직관적 조리는 훌륭한 음식을 만들어내기 위하여 복잡한 조리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부담감을 덜고 좀 더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쉽고 편안한 조리를 식생활에 활용할 수 있고, 적정한 영앙소 섭취를 통한 건강유지 뿐만 아니라 지역식재료 활용 증가, 음식물 쓰레기 감소 등 사회적 효과도 함께 거둘 수 있는 가치가 있다. 여러분의 생각과 마음 가는대로 하는 조리를 절대 무시하지 말아라.
현명한 가정간편식의 조리: 현대사회의 인구구조학적, 사회경제적 변화는 소비자의 식생활 라이프를 급진적으로 바꿔놓고 있다. 특히 여성의 사회 진출, 1인 가구의 증가, 고령화와 더불어 요리기술과 요리 시간의 부족(Kim YJ & Byun MH 2017), 최근에는 COVID19 등으로 여파로 가정 내 식사 증가 등의 이유로 소비자들은 음식의 구매∙조리∙소비 과정에서의 신속성과 편의성에 보다 높은 소비가치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조리과정이 필요없거나 최소한의 조리과정만을 필요로 하는 HMR 제품에 대한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였고, 제품의 형태도 매우 다양해졌다. 이러한 HMR 시장의 증가와 더불어 대두되는 문제는 HMR의 영양 품질과 소비자 건강에 대한 연관성 부분이다. HMR의 영양학적 품질에 관한 다양한 연구에서 주로 부각되는 문제는 열량∙지방∙당∙나트륨 과다 부분이다(Oh HI 등2019).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 탕, 찌개류 등의 즉석조리식품(Ready to Cook: RTC)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어 이들의 영양학적 품질이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Oh HI 등2019). 이와 같은 HMR의 영양학적 쟁점이 부각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영양품질에 대한 요구도 증가되고 있는데 특히 저염∙저지방∙저열량∙저당식과 비건∙신선 채소 등을 활용한 건강 가정간편식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소비자의 HMR 선택 속성 중 가장 우위에 있는 것은 가격과 맛, 브랜드 등으로 나타나(Kim YJ & Byun MH 2017) 소비자의 관심과 행동은 다소 일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건강상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HMR에 대한 시장과 소비자의 현황을 볼 때, HMR 구매는 지속적으로 이어질 것이며 가정 식탁에서 HMR 활용 음식은 더욱 당연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HMR 활용을 자제한다기 보다 HMR을 활용하여 좀 더 건강한 음식을 만들 수 있도록 현명한 구매 방법과 조리법을 고민해야 한다. 예를 들어 HMR 구매시 영양성분 표시를 확인하고 성분이나 함량에 대해 고민하고, 구매한 HMR 제품은 부족한 영양소를 채우거나 과도한 부분의 감소, 식품첨가물 제거 등을 위한 조리법, 영양 보강을 위한 보완 식품이나 음식의 활용 등 HMR로도 균형 잡힌 식사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즐거운 조리생활
조리에 대한 자신감이 붙었다면 이제는 어떻게 즐겁게 조리를 할 것인가 고민해 보자.
즐거운 조리생활을 위해 첫 번째로 고려할 것은 가족과 함께 하는 조리의 가치를 아는 것이다. 조리를 매개로 사람들의 태도나 심리를 파악하는 많은 연구들에서 일상생활에서의 조리는 결속관계 강화, 인생의 의미부여, 성취감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들을 입증하고 있다(Farmer & Cotter 2021, Mills S 등 2017). 또한 가족이 함께 조리하고 음식을 먹는 것은 그 행위 자체로 즐거운 것이며(Sidenvall B 등 2000) 나아가 건강한 식생활을 유지하게 하고 음식이나 식품에 대한 긍정적 생각을 가지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하였다(Berge JM 등 2016). 소비자 마케팅 영역에서 ‘이케아 효과’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불편함의 만족을 의미한다(Sarstedt M 등 2016). 소비자가 불편을 택하는 이유는 절약과 함께 재미, 모험, 건강, 체험을 통한 깨달음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Sarstedt M 등 2016). 따라서 가족과 함께 하는 조리는 주부 한 사람에 의해 조리하는 것보다 이케아 효과에서 말하는 의도적 불편함의 이유로 인해 조리과정을 일상의 중요한 가족 활동으로써의 의미를 가지게 하며, 그 결과로 만들어진 음식에 대해서는 더 큰 만족을 느끼게 되며, 나아가 식사의 품질 향상으로 영양섭취 상태가 개선되고 개인의 감정적 웰빙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Radtke T 등2019).
즐거운 조리생활을 위한 두 번째 고려 사항은 가정의 조리를 책임지고 있는 주부의 조리 경험 전환에 대한 부분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조리활동은 신체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반드시 해야하는 생존과 직결된 일상생활의 필수 활동(Activity of daily living; ADL)의 하나로 간주되며, 특히 주부들이 조리 활동을 ADL의 주된 업무로 인식할 경우 매우 피곤하고 지루한 일로 여기게 된다(Farmer N & Cotter EW 2021). 그러나 가족의 건강한 식생활 유지는 가족 중 조리를 담당하고 있는 사람의 조리 의지와 일관성에 의해 확보되므로 가정 조리에 있어 주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Martins CA 등 2021). 따라서 주부의 수고로움을 덜어주고 조리의 즐거움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가정 조리의 불편함을 해소해 주는 다양한 방법을 찾는 것도 좋겠다. 전처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조리 기기와 도구의 사용, 손질의 번거로움을 덜어주는 밀키트의 이용 등으로 조리주체가 되는 가족구성원의 수로고움을 덜어주는 방안들을 잘 활용한다면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조리생활을 영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Berge JM, MacLehose RF, Larson N, Laska M. 2016. Family food preparation and its effects on adolescent dietary quality and eating patterns. J Adolesc Health 59(5):530-536.
Farmer N, Cotter EW. 2021. Well-being and cooking behavior: using the positive emotion, engagement, relationships, meaning, and accomplishment(PERMA) model as a theoretical framework. Front Psychol 12:506-578.
Kim YJ, Byun MH. 2017. Why home meal replacement has been developed?. Korean Soc Food Sci Nutr 22(1):8-12.
Martins CA, Andrade GC, Brito de Oliveira MF, Bauber F, Ribeiro de Castro IR, Couto MT, Levy RB. 2021. “Healthy”, “usual” and “convenience” cooking practices patterns: how do they influence children’s food consumption. Appetite 158:105018.
Mills S, Brown H, Wrieden W, White M, Adams J. 2017. Frequency of eating home cooked meals and potential benefits for diet and health: cross-sectional analysis of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t J Behav Nutr Phys Act 14:109(doi: 10.1186/s12966-017-0567-y).
Oh HI, Choi EK, Jeon EU, Cho MS, Oh JE. 2019. An exploratory research for reduction of sodium of Korean HMR product-analysis on labeling of guk, tang, jjigae HMR products in Korea. J Korean Contents Assoc 19(3):510-519.
Radtke T, Liszewska N, Horodyska K, Boberska M, Schenkel K, Luszczynska A. 2019. Cooking together: the IKEA effect on family vegetable intake. Br J Health Psychol 24: 896-912.
Sarstedt M, Neubert D, Barth K. 2016. The Ikea effect: a conceptual replication. J Market Behav 2:307-312.
SBS. 2013. A counterattack of taste. Available from: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838268. Accessed April 04, 2021.
Sidenvall B, Nydahl M, Fjellstrom C. 2000. The meal as a gift-the meaning of cooking among retired women. J App Gerontol 19(4):405-423